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🏠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총정리 (2025년 기준)
청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은 보증금이 부담되는 월세·전세 계약 시, 저금리로 자금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.
✅ 신청 자격
- 만 19세 ~ 만 34세 이하 청년
- 무주택자 (부모 집에 거주 중인 경우도 가능)
- 연소득 7,000만원 이하 (근로·사업·기타소득 포함)
- 대출신청일 현재 신용불량이 아닌 자
💰 대출 한도 및 금리
- 전세보증금 최대 7천만원까지 대출 가능
- 월세보증금은 최대 3천만원까지 가능
- 금리: 연 1.5% ~ 2.4% (소득·보증기관·대출 종류에 따라 상이)
- 상환 방식: 2년 거치 후 분할상환 or 만기일시상환
📌 대상 주택 요건
- 임차보증금 5억원 이하 (수도권 기준)
- 전입신고 가능한 주택 (오피스텔 포함)
- 계약금 5% 이상 납부 후 계약서 제출 가능해야 함
🔎 신청 방법
- 주거래 은행(신한, 우리, 하나, 농협 등)에 방문 또는 모바일 앱으로 사전 신청
- 한국주택금융공사(HF), HUG, SGI 보증 중 택일하여 보증서 발급
- 보증서 심사 완료 후 대출 실행
🆚 타 청년대출 상품과의 차이점
-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: 소득 5천 이하만 가능 → 조건 엄격
-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: 소득 7천까지 가능, 무직자도 가능 (보증기관 판단)
- 일부 은행은 무소득자에게도 보증서 발급 → 취업 준비생도 신청 가능
📞 유용한 참고 링크
💡 TIP: 은행마다 신청 절차와 보증기관이 다르니, 반드시 사전 상담 필수!
청년 지원대출 & 저축 상품 비교표
구분 | 청년버팀목 전세자금 | 청년전월세보증금대출 | 청년희망적금 | 청년내일저축계좌 |
대상 연령 | 만 19~34세 | 만 19~34세 | 만 19~34세 | 만 19~34세 |
소득 기준 | 연 소득 5,000만원 이하 | 연 소득 7,000만원 이하 | 연 소득 3,600만원 이하 (세전) | 중위소득 100% 이하 (~약 2,000만) |
대출/저축 한도 | 최대 7천만원 (전세) | 전세 최대 7천 / 월세 최대 3천 | 월 50만원까지 저축 가능 | 월 10만원 저축 시 정부 30만원 매칭 |
금리/지원 | 연 1.2% ~ 2.1% | 연 1.5% ~ 2.4% | 금리 + 정부지원금 | 정부 1:3 매칭지원 (최대 1,440만원) |
보증기관 | HUG | HF, HUG, SGI | 정부직접 지원 | 정부직접 지원 |
무소득자 가능 여부 | ❌ 불가능 | ✅ 가능 | ✅ 가능 | ✅ 가능 |
반응형